운영관리 통합 물류 시스템 - SCM / QR / ECR / CRP / CPFR / APS / ATP
페이지 정보
본문
통합 물류 시스템
통합물류시스템은 물류에 국한된 시스템이 아니라 구매 관리, 자재 관리, 제품 물류의 3가지 개념을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한 형태로서 기존의 물류 정보 시스템이 SCM의 원리를 받아들이고 ERP와 연동하여 새로운 물류 정보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통합 물류 시스템은 공급망(Supply Chain)상의 여러 관련 기업들이 고객서비스의 향상, 비용의 절감 등을 위해 물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유하고 교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대 효과
■ 수요 예측의 정확도 제고로 인한 재고량 감소 효과.
■ 물류 관리의 오차와 불확실성 감소.
■ 물류 비용 절감.
■ 고객 서비스 수준 향상.
1) SCM (Supply Chain Management : 공급망 관리)
SCM이란 공급자로부터 최종 수요자까지의 모든 공급 체인 상에서 정보, 물자, 현금의 흐름에 대해 총체적인 관점으로 각 체인간의 상호 관계를 조절하고 관리함으로써 효율성을 최대화 시키기 위한 전략적 경영기법이며 원자재 공급에서 시작하여 완제품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될 때까지의 과정(물류과정) 전체를 하나의 유기체라는 전제하에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SCM은 일련의 통합적인 물류과정을 관리하면서 그 공급망에 관계된 모든 부문 및 업체들이 상품의 흐름에 관한 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는 것은 물론 문제의 해결, 변동 정보의 전달, 각 단계의 요구 사항을 전 단계가 파악, 최종 소비자의 반응을 즉각적으로 적용하는 등의 활동을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물류비용의 절감을 목표로 하는 대표적인 통합 물류 관리 시스템의 개념이다. 하나의 솔루션이나 시스템이라기보다는 공급망상의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새로운 개념, 원리, 원칙을 통칭하는 물류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SCM은 공급망 내의 물류, 자금, 정보의 흐름에 대한 최적화 계획을 수립하는 Supply Chain Planning(공급망관리계획)과 Supply Chain Planning에서 수립된 계획의 실행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Supply Chain Execution(공급망관리실행)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⑴ 공급망 관리 계획(Supply Chain Planning)
■ Supply Chain Network Design
■ Demand Planning & Forecasting
■ Supply Planning, Distribution Planning
■ Manufacturing Planning & Scheduling
⑵ 공급망 관리 실행(Supply Chain Execution)
■ Warehouse Management
■ Transportation Management
■ Inventory Management
■ Order Management
2) QR(Quick Response : 신속 대응)
SCM의 구현 전략의 하나로서 고80년대 중반 미국 의류업계와 유통업체가 상호 협력하여 로지스틱스의 전 과정에서 합리화를 실현함으로써 그 성과를 제조업체, 유통업체, 소비자에게 골고루 돌아가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전략이다. 바코드, EDI, 상품 DB 등의 정보 기술을 활용한다.
소비자의 욕구를 신속하게 반영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 적절한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시스템으로서 생산 기간 및 유통 기간의 단축(=리드타임(지연시간)의 감소), 재고의 감소, 반품으로 인한 손실의 감소 등의 효과를 성취할 수 있다.
3) ECR(Efficient Consumer Response)
ECR 역시 QR과 마찬가지로 SCM의 이론에 입각하고 업종과 기업의 상황에 따라 적합하게 변형된 SCM의 구현 전략의 하나이다. 90년대 미국 식품 유통업체와 제조업체들이 유통 경로의 효율성을 제고시키고, 소비자의 가치를 증진하기 위하여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간의 전략적 제휴, 카테고리 관리, 활동중심원가회계 도입, EDI 시스템의 활용, 조직의 변화 등을 추구하면서 시작되었다.
원자재 공급자의 창고에서 판매 점포의 선반에 이르기까지 물류의 전체 공급 사슬을 적절하고 정확한 정보흐름을 가질 수 있도록 리엔지니어링 함으로써 전체 공급사슬의 비효율성과 초과 비용을 제거하는 것이다. ECR의 목표는 효율적 재고 보충, 효율적 구색, 효율적 판매 촉진, 효율적 상품 도입 등이다.
4) CRP(Continuous Replenishment Planning : 지속적 보급 계획)
상품의 소비자 수요에 기초하여 제조업체 또는 도매상이 유통소매점에 공급하는 Pull 방식에 의한 상품 보충 방법이며, 거래선 간에 상품이 공급되는 모든 지점에 적용될 수 있는 개념이다.
재고량, 유통채널 잔존 주문량, 예측 판매량, 재고 수준 등 공급업자와 소매업자의 정보 공유를 통하여 상품의 흐름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재고량과 재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공급자와 소매업자 사이의 긴밀한 협조체계 하에서 가능하다. 역시 SCM의 구현 전략의 하나이다. VMI와 CMI로 구분한다.
⑴ VMI(Vender Managed Inventory : 공급자 재고 관리)
구매자가 공급자에게 판매, 재고 정보를 전자문서교환(EDI)으로 제공하면 공급자는 이를 토대로 과거 데이터를 분석하고 수요 예측을 하여, 상품의 적정 납품량을 공급자 스스로 결정하여 납품하는 방식이다. 구매자는 재고량을 줄일 수 있고 또 재고 관리에 소모되는 인력, 시간 등의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공급자는 적정 생산 및 납품을 통해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⑵ CMI(Co-Managed Inventory : 공동 재고 관리)
전반적인 업무 처리의 구조는 VMI와 같은 과정이지만 CMI의 경우에는 구매자와 공급자가 상호간 제품 정보를 공유하고 공동으로 재고 관리를 하는 것이다. VMI의 경우에는 발주 내역이 확정되면 공급자가 곧바로 구매자에게 상품을 배송하는데 반하여 CMI는 제조업체가 발주 내역 확정을 하기 전에 발주 권고를 구매자에게 보내어 상호 합의한 후에야 발주 내역 확정이 이루어진다.
5) CPFR (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Replenishment)
소매업자, 도매업자와 제조업자가 협력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면서 수요의 예측, 생산 계획, 재고 보충 등의 관리를 해나가는 개념을 말한다. CPFR은 소매업체와 공급업체를 연결해 생산 계획과 수요 예측, 재고 처리 등 협업을 가능하게 해주는 시스템으로 수익 증대와 운영비용 감소, 주기 감소 등을 가능하게 해주며 또한 통합된 계획과 실행시스템과 더불어 수송과 창고관리 능력을 향상시켜 생산에서 고객 전달까지 전 흐름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CRP와 유사하지만 CPFR은 ECR과 VMI의 장점들을 혼합한 좀 더 발전적이고 통합적인 개념으로서 판매자와 구매자간의 B2B 협력관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서로 협의된 수요 예측 데이터 및 판매시점관리(POS) 데이터들을 교환하여 서로의 예측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공동의 목표 실행을 가능하게 해준다.
CPFR 역시 SCM의 구현 전략의 한 종류로서 수요 예측이나 상품 보충 등의 분야에 상호 협력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제조업체, 물류업체, 소매업체간의 공급망관리(Supply Chain Management)를 원활하게 수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⑴ CPFR의 기대 효과
매출 증가, 이익 증대, 판매 예측, 발주 예측, 업무 효율화, 발주와 배송의 정확도 향상, 고객서비스 향상, 현금 흐름 및 자산회전율 개선
⑵ CPFR의 기술적 전제 조건
■ 대상이 되는 두 기업간 이용 정보의 표준 채택
■ 시스템의 확장성 확보(상품 수, 거래기업 수, 데이터 교환 수 등)
■ 데이터의 비밀 유지
■ 시스템 관리의 용이성(시스템 관리비용의 증가 억제)
■ 복구력(하드디스크 고장에 대한 신속 복구)
■ 디자인 공개(양 사간 신속한 접속을 위한 협동 관계)
■ 협동 관계(정보 접근, 실행 프로그램 등의 시스템 정리)
6) APS(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
⑴ 정의
APS란 생산성과 재고 및 생산비용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화된 의사결정도구(Decision Support Tool)로서 보다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생산계획 및 스케줄링을 위하여 도입된 생산 관리 시스템이다.
APS는 생산용량(Capacity)과 병목공정(Bottleneck)의 관리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자동화된 온라인(On-line) 생산계획 프로세스(Process)를 지원한다.
⑵ 특징
APS 시스템은 유한한 생산용량 스케줄링이 가능하다. 이는 생산용량이 무한하다고 가정하고 있는 MRP에서의 무한로딩(Infinite Loading) 발생 가능성이라는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APS 시스템은 속도가 매우 빠르며 What-If 분석을 지원하고 있고, 최적화 개념을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자원의 최적 활용이 가능하며, 인공지능이나 규칙기반 기법 및 휴리스틱(Heuristis)을 지원한다.
⑶ 기능
■ 생산계획(Production Planning) : 주어진 수요와 생산용량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계획 기간 내의 장/단기 생산계획 수립
■ 수요계획(Demand Planning) : 최종 고객의 완제품에 대한 수요의 추세나 확률적 분포를 정확하게 예측
■ 공급계획(Supply Planning) : 원재료의 조달 비용 및 리드타임 단축을 위한 공급 체인을 최적화
■ 수배송계획(Distribution/Transportation Planning) : 리드타임 및 수배송 비용 단축을 위한 최종 제품의 배송 및 중간 부품의 공장 및 설비간 수송을 최적화
■ 생산 스케줄링(Detailed Operation Scheduling and Sequencing) : 생산성과 납기 만족을 위한 개별 공장 및 설비 단위의 작업 순서 결정 및 세부 일정계획 수립
7) ATP (Available to Promise)
ATP는 공급업체가 납기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으로서 고객이 주문을 하면 ATP 시스템을 운영하여 납기 가능 일자를 확인 한 뒤에 고객에게 가능한 납기일을 정보로서 제공하는 것이다.